▶ 2023년 출산혜택
▶ 2023년 첫 만남이용권
▶ 2023년 부모수당
▶ 2023년 보육료지원
▶ 2023년 아동수당
▶ 2023년 돌봄, 백신, 육아휴직, 전기료 감면
2023년 출산지원금과 혜택에 대해 알아봅니다.
임신, 출산 바우처 국민행복카드
지급대상 | 임산부, 1세미만 영유아의 법정 대리인. |
혜 택 | 단태아 100만, 다태아 140만을 카드 바우처로 지급. |
사용기간 | 발급 후 2년까지. |
사 용 처 | 임산부, 2세미만의 영유아 : 병원,약국에서 사용. |
신청방법 | 산부인과 임신확인서 지참하고 국민건강보험 공단지사 또는 은행에서 신청. |
첫 만남이용권은 22년 출생된 아동부터 지급되는 200만 원의 바우처이며, 신청 후 30일 내 지급결정되며 신용카드, 체크카드 등의 포인트 형태로 지급합니다.
첫 만남 이용권
지급대상 |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로 주민번호를 부여받은 아동. |
혜 택 | 출산시 아이당 200만원 바우처로 지급. |
사용기간 | 아동 출생일로 부터 1년간. |
사 용 처 | 아동양육에 필요산 물품 구입시(식품,의류,가구 등). |
신청방법 | 방문신청 : 보호자또는 대리인이 아동의 주민등록상 주소지의 읍.면동사무소 온 라 인 : 정부24, 복지로 사이트. |
23년 부모급여 & 영아수당은 만 0세~1세를 양육하는 가구에 35만~70만 원 지급되는 것으로, 현재보다(30만) 액수가 늘어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24년에는 월 50~100만까지 늘어날 예정입니다. 전액 현금 지급으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.
부모급여(기존 영아수당)
지급대상 | 0개월~23개월(22년 이후 출생아부터), 21년생 가정돌봄시 기존 양육수당 지급. | |
혜 택 | 조건없이 전액 현금 지급. | |
신청방법 | 방문시 : 주민등록상 주소지. 온라인 : 정부24시, 복지로 사이트 | |
출생일 포함 60일이내 신청시 출생월부터 소급지급됨. 60일 이후 신청시 신청하는 달 부터 지급되므로 소급되지 않음. |
||
부모수당 | 2023년 | 2024년 |
0~11개월 | 월 70만원 | 월 100만원 |
12~23개월 | 월 35만원 | 월 50만원 |
복지로 사이트 바로가기
https://www.bokjiro.go.kr/ssis-tbu/index.do
정부24시 사이트 바로가기
https://www.gov.kr/portal/main
아동수당
아동수당 | 소득무관, 95개월까지 매월 10만원. |
23년 보육료는 어린이집이나 보육시설에 보내게 되는 경우 지원됩니다.
보육료 지원
만 0세~1세
어린이 집 다닐 시보육료 지급 0세 영유아 보육료 514,000원 학비지원 - 700,000(부모수당)
= 차액 186,000원 (매달 25일 지급)
차액지원은 복지로 사이트에 은행계좌 등록할 것.22년~23년생 부모급여
보육료 전환 시만 1세:보육료 452,000원 지원> 부모수당 35만 원
(보육료가 큰 금액으로 차액지급 안됨)
23년 돌봄 지원, 무료백신접종, 육아휴직, 전기료 감면 혜택
돌봄, 백신, 육아휴직, 전기료
돌봄 지원 대상 & 시간 | 로타바이러스 백신 무료 접종 | 육아휴직 |
년 840시간(하루 3시간 30분) ▶ 년 900시간(하루4시간) |
회당 10만원이상의 백신 ▶ 2023년 국가 예방접종 지원 무료접종 전환 예정 대상: 2~6개월 영유아. |
기존 1년 ▶ 1년 6개월 (월 임금의 80%지급) |
전기료 감면 | 출생 후 3년되는 날까지 전기료 30% 할인. |
이상 2023년 출산혜택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.
지원사업은 매년 변경되니 꼼꼼하게 체크해 보시고 빠짐없이 혜택지원받으시길 바랍니다.
복지로 사이트 바로가기
https://www.bokjiro.go.kr/ssis-tbu/index.do
정부24시 사이트 바로가기
https://www.gov.kr/portal/main